

-
- 8월
- 225위
-
-
- 9월
- 222위
-
-
- 10월
- 223위
-
-
- 11월
- 223위
-
-
- 12월
- 215위
-
-
- 1월
- 217위
-
-
- 2월
- 221위
-
-
- 3월
- 223위
-
-
- 4월
- 223위
-
-
- 5월
- 219위
-
-
- 6월
- 225위
-
-
- 7월
- 224위
-
-
즐겨보기지역특산물축제
2025 영양고추 H.O.T Festival (25/08/29~25/08/31)
영양고추핫페스티벌은 산지에서 열리는 일반 축제의 틀을 벗어나 도시 소비자를 직접 찾아가는 농산물 문화체험 축제이다. 영양군은 우수한 품질로 70년대부터 전국 최고의 고추명산지로 자리매김하였다. 청정 자연에서 생산된 우수 농·특산물을 생산지에서 머무르지 않고 대한민국 심장부의 최대 소비자를 직접 찾아가는 agile마케팅을 통해‘고추는 역시 영양고추’라는 인식제고와 함께 우리군 농·특산물의 최우수성 홍보를 배경으로, 영양고추 H.O.T Festival행사는 서울시청 광장에서 개최하는 단일품목 최대직거래행사로 지역의 문화・체험・전시・판매 등의 다양한 볼거리, 즐길거리를 제공함으로써 도‧농 상생 및 화합의 장을 제공하고 농특산물 소비촉진과 소비자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축제이다. 서울광장에서 2007년 ~ 2024년까지 총16회 개최(2025년 17회 개최예정)하였으며, 서울시민에게 추석․김장용 양념채소 공급에 가장 크게 이바지(김치에도 역시 영양고추!!)하였고, 기대효과로는,우수 농‧특산물 전시, 홍보, 직거래를 통한 먹거리 제공 및 브랜드 인지도 향상, 대도시 소비자에게 농촌 먹거리・즐길거리를 직접 제공하는 도농 상생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판로확대를 통한 농가 소득증대 도모이다.
-
즐겨보기지역특산물축제
영양산나물축제 (2021. 04. 21~05. 21(온·오프라인 행사))
영양산나물축제는 기존에 진행해오던 영양산채한마당에서 명칭을 변경하고 더욱 발전된 축제가 되었다. 이 축제의 시작은 청정지역에서만 자라난다는 ‘푸세’와 영양의 산나물을 알리기 위함이었다. 올해는 코로나 19여파로 '온·오프라인 행사’를 추진한다. 웰빙 산나물의 우수성 홍보를 위한 일월산 산나물 체험, 영양산나물 특별판매전, 산나물을 활용한 먹방 콘텐츠 같은 이벤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판매장터도 운영해서 원하는 산나물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싱싱한 산나물과 함께하는 5월을 보내고 싶다면 영양을 방문해보자.
-
즐겨보기문화예술축제
빛깔찬 영양김장축제 (17/11/14~17/11/19)
겨울철 김장에 대한 고민은 항상 있을 것이다. 도시민들의 경우 더욱 고민이 깊을 것이다. 이 고민을 해결하고자 영양군에서 김장축제가 열렸다. 일정 비용을 내면 김장체험이 가능하고, 담근 김치를 가져갈 수 있다. 김장체험에 3,500명이 참여를 하고, 배추김치와 절임배추 62톤을 판매하여 2억 5천만원의 수익을 올린 틈새축제로서는 대성공이다. 볼거리는 적지만, 체험과 판매로 시작을 하였으며, 입소문을 타고 수도권 주민들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다. 김장에 대해서 잘 모른다면, 영양 김장축제를 방문하여 김장체험도 해보며 김장에 필요한 농산물도 구매하는 것을 추천한다.
-
즐겨보기문화예술축제
영양고추아가씨 선발대회 (16/08/19~16/08/19)
영양군은 지역의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보다 널리 알리기 위해 지난 1984년부터 영양고추아가씨 선발대회를 개최해오고 있다. 대회는 영양군민 체육대회와 격년제로 진행된다. 영양고추아가씨 선발대회는 전국에서 가장 오래된 특산물 아가씨 선발대회다. 이 대회에서는 진, 선, 미를 비롯하여 매꼬미, 달꼬미, 빛깔찬, 특별상 등 7명을 선발하고 선발된 입상자는 영양군 홍보와 지역 농·특산물의 홍보대사로 전국에서 활동하게 된다.
-
즐겨보기지역특산물축제
세계유교음식페스티벌 (15/10/17~15/10/18)
세계유교음식페스티벌은 영양군의 유교음식과 유교문화를 알리고자 개최되었고 500년 전통의 반가 음식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축제이다. 행사는 통과의례 상차림, 유교문화권 전통주, 세계음식문화 같은 전시프로그램으로 눈을 즐겁게 한다. 또한 음식디미방 만들기, 전통예절, 전통복식, 전통민속 놀이 등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유교음식의 참매력을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