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대구광역시의 시티투어_수성가창 코스
대구광역시는 7개의 구와 1개의 군으로 나누어진 지역이다. 다양한 지역으로 나눠진 만큼 각 지역마다 각기 다른 문화와 명소를 가지고 있다. 수성가창코스는 수성지역과 가창지역에 마련된 관광명소를 한 번에 돌아볼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00
신남역은 대신동과 남산동 사이에 있는 지리적 위치 덕분에 두 동의 이름을 합쳐서 부르게 된 이름이다. 역이 개통되기 전 공사중에는 동산역, 개통 후에는 서문시장역으로 불렸으나 2014년부터 신남역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5.60km / 28분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 동대구역
대구의 인구 증가로 인해 협소한 대구역에 대비한 역으로 탄생한 동대구역은 1969년 보통역으로 시작했다. 2004년 KTX의 개통으로 명실상부한 경부권 정차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복합쇼핑몰의 입점과 편의시설로 승객의 많은 이용이 이뤄진다.

6.22km / 20분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가수 故김광석이 살았던 중구 대봉동 방천시장 인근 골목에 김광석을 주제한 골목이 있다. 김광석의 인생과 노래를 꾸며낸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은 매년 가을에는 '김광석 노래 부르기 경연대회'를 개최하여 故김광석을 기억하고 있다.

17.71km / 33분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길 218
정조 13년에 건립되었던 녹동서원은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던 것을 1800년대 후반에 이르러 재건하였다. 현재의 위치로 이전한 것은 1970년대에 이르렀을 때의 일이며, 해마다 3월에는 제례를 올린다.

0.16km / 1분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길 206
달성한일우호관은 임진왜란 시기에 왜군에서 조선인으로 귀화한 김충선(사야가)장군을 모신 녹동서원 옆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한국과 일본의 화합을 추구하는 공간이며 청소년을 위한 역사 공부와 체험학습의 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15.42km / 35분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
수성못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의 지시로 1925년 완공되었다. 이곳은 점차적인 개발을 통해 도시근린 유원지로 발전되었으며 2007년에는 전국 최대의 영상음악분수시설이 준공되어 시민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고 있다.

3.72km / 14분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은 1994년 개관해 대구를 포함한 경북지역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과 작품을 전시한 곳으로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삼국시대부터 가까운 현대까지 다양한 자료를 수집, 전시하고 있고 항상 전시되어있는 상설전시뿐만 아니라 특별 기획전시도 많이 준비되어 있다.

2.78km / 8분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525길 14-23
모명재는 일본이 우리나라를 침략했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조선에 원군을 이끌고 와 공을 세운 뒤 귀화한 명나라 장수 두사충을 기리기 위해 세운 재실이다. 모명재라는 이름은 두사충의 호로 명나라를 그리워하는 뜻을 담고 있다.

5.26km / 14분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 동대구역
대구의 인구 증가로 인해 협소한 대구역에 대비한 역으로 탄생한 동대구역은 1969년 보통역으로 시작했다. 2004년 KTX의 개통으로 명실상부한 경부권 정차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복합쇼핑몰의 입점과 편의시설로 승객의 많은 이용이 이뤄진다.

6.73km / 27분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00
신남역은 대신동과 남산동 사이에 있는 지리적 위치 덕분에 두 동의 이름을 합쳐서 부르게 된 이름이다. 역이 개통되기 전 공사중에는 동산역, 개통 후에는 서문시장역으로 불렸으나 2014년부터 신남역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