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를 전통으로 품은 창덕궁, 국내여행, 여행정보

오른쪽으로 이동왼쪽으로 이동

트래블투데이 LIST-i 지역호감도

변화를 전통으로 품은 창덕궁


“모두 물렀거라!” 함성과 함께 왕의 행차 소리가 들린다. 백성들은 가던 길을 멈추고 땅에 엎드려 왕의 행차를 기다린다. 장대한 행렬 대신 자동차 한 대가 지나간다. 왕을 태운 가교(駕轎) 가 아닌 조선의 마지막 왕 순종이 탄 자동차다. 순종은 창덕궁에 머물며 덕수궁에 칩거 중인 고종을 만나기 위해 차를 구입했다고 한다. 편리한 목적도 있지만 그만큼 서양문물이 왕궁 내로 들어온 것이며, 동양의 건축물 속으로 서양 기술이 도입된 시기다.

                    
                

조선 제2의 법궁, 창덕궁

1405년 태종 때 건립된 창덕궁(昌德宮)은 ‘덕의 근본을 밝혀 창성하라’는 뜻을 담고 있다. 창덕궁은 경복궁의 별궁 목적으로 지어졌다. 하지만 임진왜란 때 주요 궁궐들이 모두 불타고 1610년(광해 2)에 창덕궁은 경복궁의 재건까지 270여 년 동안 법궁의 역할을 하게 된다.
 
창덕궁은 다른 왕궁과는 달리 규칙적인 구조를 따르지 않고 주변 지형과 상황에 맞게 건축하여 고유의 아름다움을 갖고 있다. 경희궁(慶熙宮), 경운궁(慶運宮) 등 다른 궁궐의 건축에도 영향을 주었다. 왕조의 상징이었던 궁궐은 여려 차례의 화재로 소실과 재건을 거치며 많은 변형을 가져왔다. 1991년부터 창덕궁의 본 모습을 찾기 위해 복원사업이 시작되고 마침내 1997년 12월 6일 유네스코(UNESCO)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은 왕의 행차와 같은 의례가 있을 때 출입문으로 사용하였다.

 

창덕궁은 화재로 소실과 재건을 반복하다 1991년 복원사업이 시작되고 마침내 1997년 12월 6일 유네스코(UNESCO)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문턱이 낮아진 돈화문

창덕궁에 가기 전 돈화문(敦化門)을 먼저 만난다. 1412년(태종 12)에 건립된 돈화문은 창건 당시 창덕궁 앞에는 왕가를 모신 사당이 자리하고 있어 궁의 진입로를 서쪽에 만들었다. 왕의 행차와 같은 의례가 있을 때 돈화문을 사용했고 신하들은 사용할 수 없었다.

 
조선의 마지막 임금인 순종은 덕수궁에 머무르는 고종께 문안을 다니기 위해 서양 사람들이 타고 다니는 마차와 포드 자동차를 구입하였다. 왕의 행차 때 수십 명이 어깨에 메고 가야 하는 가교(駕轎) 대신 속도도 빠르고 이동이 간편한 수단을 이용한 것이다. 

문제는 자동차가 궁 안으로 들어가려면 돈화문 앞 돌층계와 높은 문지방에 걸려 통과할 수 없었다. 돌층계는 긴 소나무를 틈에 넣어 모래를 펴고, 황토를 깔아 경사면을 만들었다. 문지방은 마차와 자동차가 오면 수문장과 수직 군졸이 달려와 문지방을 뺐다가 통과하면 다시 제자리에 꽂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돈화문을 지나 임금이 다니는 어도(御道)를 따라가면 궁궐의 안과 밖을 구별해주는 금천(錦川)을 건너게 된다. 
 

  • 인정전은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등 중요한 국가적 의식을 치르던 곳이다.

왕의 자격은 인정문에서 인정전으로

돈화문이 대문이라면 인정문(仁政門)은 궐로 들어가는 첫머리에 있는 가장 중요한 문이다. 인정문을 지나면 바로 임금과 얼굴을 마주할 수 있는 법전(法殿)에 당도한다. 법전은 인정전(仁政殿)을 임금이 법도에 맞추어 나라를 다스린다는 의미다. 임금이 즉위할 때는 아직 법전에 들어갈 수 없고 반드시 인정문에서 즉위한 후 인정전으로 들어갈 수 있다.
 
경복궁의 근정전에 비하면 소박한 모습의 인정전은 밖에서 보면 2층이지만 1층과 2층이 터 있는 통층의 건물로 화려하고 높은 천장을 볼 수 있다. 1908년 개화바람이 왕궁에도 불어 서양 공사가 산업제품을 알선하고 전기발전시설의 도입과 전등, 커튼, 유리 창문 등이 설치되어 다른 궁들과 사뭇 다르게 느껴진다.

 
  • 대조전은 왕비의 생활공간이며, 바로 옆 흥복헌에서 경술국치가 결정되었다.

 

1910년 흥복헌에서 마지막 어전회의를 열어 경술국치가 결정된다. 이로부터 대한민국의 주권을 찾기까지 35년이 걸렸다.


역사적 비극의 시작, 대조전

대조전(大造殿)은 왕비의 침전과 생활공간이다. 많은 건물이 대조전을 보호하는 듯 주위를 감싸고 있는데, 그 가운데 흥복헌(興福軒)에서는 1910년 마지막 어전회의를 열어 경술국치(庚戌國恥)가 결정된 비극의 현장이다. 경술국치는 일본이 대한 제국에 한일병합조약을 강제로 체결하고 공포한 경술년 8월 29일을 말한다. 대한민국의 국권을 상실하게 된 치욕의 날이다. 즉,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는 시기다. 누가 35년 동안 일본의 지배를 받을 것이라 상상이나 했을까.
 

  • 낙선재는 헌종이 경빈을 맞이하여 지은 건물이며, 단청을 하지 않아 소박한 모습을 담고 있다.

낙선재는 단청을 하지 않아 소박함이 묻어나며 낙선재 후원으로 부용지, 애련지, 관람지, 옥류천 네 개의 골짜기가 있다.


소박한 아름다움을 간직한 낙선재

창덕궁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낙선재는 조선 24대 임금인 헌종이 사랑한 경빈(慶嬪)을 위해 지었다. 후궁을 위한 건물을 궁내에 지은 일은 매우 드문 일이다. 단청을 하지 않아 헌종의 검소한 성품이 묻어나는 낙선재는 서재와 사랑채로 사용하였고, 석복헌은 경빈이 사용하는 안채였다. 석복헌 안은 궁궐의 호사스러움은 찾아 볼 수 없고 오히려 낙선재와 닮았다.

낙선재를 지나면 태종이 창덕궁을 창건할 당시 조성한 후원(後苑)이 나온다. 인위적인 느낌보다 자연 일부처럼 아름다움이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만들었다. 각각의 미를 갖춘 부용지(芙蓉池), 애련지(愛蓮池), 관람지(觀纜池), 옥류천(玉流川) 네 개의 골짜기가 있다.
 

트래블아이 쫑마크
트래블아이 한마디 트래블아이 한마디
동양의 정신과 서양 기술이 어우러진 창덕궁!  
창덕궁 곳곳에 숨겨진 아름다운 비밀을 찾아보세요.

트래블투데이 김남현 취재기자

발행2014년 11월 11 일자

  • 함께만드는 트래블아이
  • 마이페이지
  • 수정요청


트래블아이 여행정보 수정문의

항목 중에 잘못된 정보나 오타를 수정해 주세요.
수정문의 내용은 트래블아이 담당자에서 전달되어 검토 후에 수정여부가 결정되며 검토결과에 대한 내용은 메일로 전달드립니다. 검토 및 반영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이름(ID)
수정을 요청하는 정보항목
수정문의 내용입력 (필수)

내용중 오타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기타문의는 고객센터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0 / 5,000자)

수정요청 닫기
확인 취소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주재기자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파워리포터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한줄리포터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

강진군 다산박물관 올해 입장객 6만명 돌파, 국내여행, 여행정보 강진군 다산박물관 올해 입장객
컨텐츠호감도
같은테마리스트 더보기

테마리스트 해당기사와 같은 테마기사 리스트

테마리스트 바로가기 버튼 테마별 리스트 정보제공

지역호감도

변화를 전통으로 품은 창덕궁

7가지 표정의 지역호감도 여행정보, 총량, 콘텐츠호감도,
트래블피플 활동지수 지표화

핫마크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

콘텐츠호감도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블피플의 반응도

사용방법 안내버튼 설명 페이지 활성화

  • 함께만드는 트래블아이
  • 마이페이지
  • 수정요청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슈퍼라이터,
파워리포터, 한줄리포터로 구성된 트래블피플

스크랩 마이페이지
스크랩 내역에 저장

해당기사에 대한 참여 추가정보나 사진제공,
오탈자 등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