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시티투어 |
전남 광양시에는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이 있다. 시인 윤동주의 친필 원고가 보관된 곳이다. 윤동주의 하숙집 후배로 알려진 정병욱 또한 한국의 국문학 발전에 큰 공을 세운 바 있다. 이에 시인의 고장이라고 불리는 전남 광양시로 떠나보자. 정병욱 가옥에 가기 전에는 광양시의 명소 이순신대교, 김시식지, 배알도해변공원에 들려보는 것도 좋다.
합천을 대표하는 관광지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 3년 802년에 순응·이정양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목판, 팔만대장경을 비롯해 이를 보관하고 있는 장경각과 균형 있는 한국 전통의 건축미가 돋보이는 일주문 등이 볼거리이다. 특히 홍류동계곡을 따라 해인사에 이르는 4km의 길은 봄 벚꽃과 가을 단풍으로 장관을 이룬다.
합천을 대표하는 관광지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 3년 802년에 순응·이정양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목판, 팔만대장경을 비롯해 이를 보관하고 있는 장경각과 균형 있는 한국 전통의 건축미가 돋보이는 일주문 등이 볼거리이다. 특히 홍류동계곡을 따라 해인사에 이르는 4km의 길은 봄 벚꽃과 가을 단풍으로 장관을 이룬다.
주소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연락처055-934-3000
합천댐 한가운데로 펼쳐진 경치는 남해 못지않다. 마을 뒷산 비탈에는 잎새 떨군 채 삐쭉삐쭉 줄지어선 하얀 자작나무숲도 한 폭 그림이다. 그러나 이 일대 봉산면의 망향의 동산 등 호수 주변 곳곳에는 과거 합천댐으로 인하여 수몰된 옛 마을 사람들의 안타까운 실향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이 수몰민들의 삶의 흔적과 역사를 전시해 놓은 곳이 망향의 동산이다.
합천댐 한가운데로 펼쳐진 경치는 남해 못지않다. 마을 뒷산 비탈에는 잎새 떨군 채 삐쭉삐쭉 줄지어선 하얀 자작나무숲도 한 폭 그림이다. 그러나 이 일대 봉산면의 망향의 동산 등 호수 주변 곳곳에는 과거 합천댐으로 인하여 수몰된 옛 마을 사람들의 안타까운 실향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이 수몰민들의 삶의 흔적과 역사를 전시해 놓은 곳이 망향의 동산이다.
주소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김봉리
연락처055-930-3751 (합천군 관광진흥과)
문화재자료 제362호로, 가회면에 위치한 조선 중기의 중신 윤우벽(1585~1659)의 공적과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1911년에 지은 가옥이다. 파평윤씨 소정공파 직장공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윤우벽은 자는 자익, 본관은 파평이며 별좌 직장 등의 벼슬을 지냈다. 대문채, 관리사, 사당 등 총 3채가 ‘ㄷ’자 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돌담으로 둘러쳐져 있다.
문화재자료 제362호로, 가회면에 위치한 조선 중기의 중신 윤우벽(1585~1659)의 공적과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1911년에 지은 가옥이다. 파평윤씨 소정공파 직장공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윤우벽은 자는 자익, 본관은 파평이며 별좌 직장 등의 벼슬을 지냈다. 대문채, 관리사, 사당 등 총 3채가 ‘ㄷ’자 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돌담으로 둘러쳐져 있다.
주소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함방리
연락처055-930-3751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