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상설시장 | 1일,6일 | 2일,7일 |
| 3일,8일 | 4일,9일 | 5일,0일 | 기타 |
횡천시장
매월 5일, 10일 열리는 5일장이다. 횡천시장도 품질 좋고 저렴...
경남 하동군
안의시장
함양군 안의면 석천리에 개설된 상가건물형 시장으로 인근의 면민들이...
경남 함양군
중앙시장
200여개 점포로 이루어진 상가주택복합형, 중형시장이다. 제일시장...
경기 동두천시
완도읍5일시장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에 위치한 완도읍5일시장은 1981년 개설된...
전남 완도군
양북시장
양북시장은 1942년 개설되어 지금까지 지역 커뮤니티 기능을 수행...
경북 경주시
대덕시장
1932년 시장이 처음 형성되었다. 지속적으로 시설을 개,보수 하...
전남 장흥군
용산시장
용산시장은 유난히 농산물이 많다. 그 이유는 용산을 두 개의 천이...
충북 영동군
세화민속오일시장
세화-종달 간 해안도로 변에 위치한 시장. 아름다운 경관으로 많은...
제주 제주시
무장시장
1965년에 생겨나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는 무장시장! 무장시장은 ...
전북 고창군
용문전통시장
양평군 용문면 다문리에서 열리는 5일장인 용문시장은 매달 5일, ...
경기 양평군
서울 서대문구
역사
Q. 역사,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개장년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조선 및 구한말
일강기 및 6.25 종전 (1910~1952)
종전, 새마을 운동 이전 (1953~1969)
산업화, 올림픽 이전 (1970~1987)
서울올림픽 이후 현대 (1988~현재)
규모
Q. 규모,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을까요?
해당 시장의 점포수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1000개 이상의 유통거점의 초대형 시장
500개 이상과 1000개 미만의 대형시장
100개 이상과 500개 미만의 지역시장
50개 이상과 100개 미만의 동네시장
50개 미만의 골목시장
1960년 홍제천 주변 둑방에서 자연시장 형태로 시작된 인왕시장은 1972년 인왕시장이라는 상호로 시장이 개설됐다. 초기에는 점포 수가 많지 않았지만 현재는 점포 수만 150개, 좌판은 200개 수준으로 주로 농축산물과 잡화가 주를 이룬다. 72년 개설 당시에는 용산청과시장 중간상 역할을 주로 하였으나 현재는 서부상권의 주요 재래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이곳에는 100여 개의 농산물 판매업소가 있는데, 농산물을 직접 조달하여 저렴한 가격에 신선하고 품질이 우수한 농산물을 만날 수 있다. 근래에는 전통시장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커피숍과 꽃집 그리고 어린이놀이 카페, 설치미술 갤러리 등을 열었고, 공중화장실도 만들었다. 공동무료배송센터도 개관하여, 시장 반경 2km 이내 홍제, 홍은, 연희동은 물론 종로구 세검정, 은평구 녹번동까지 무료배달이 가능하다. 매월 두 번째, 네 번째 일요일에는 시중 가격보다 10~30% 저렴하게 살 수 있는 직거래 장터도 운영한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