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은 추억을 부르고
- 충청북도 청주시 -
수암골은 충북 청주에 남아 있는 마지막 달동네입니다. 한국전쟁 이후 피란민들이 이주하면서 흙벽돌을 찍어 집을 지었다 합니다. 세월이 흐르면서 쓸쓸한 달동네가 되었고 인적이 끊긴 무채색의 골목으로 영원히 남아 있을 것 같던 이 마을은 어느 날, 골목에 그림이 그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추억의 골목 여행’이라는 주제로 하나둘씩 벽화가 늘어나며 회색빛 일색이던 좁고 허름한 골목길이 산뜻한 색과 그림으로 새 생명을 얻기 시작했습니다. 오늘 <트래블아이>의 미션은 바로 ‘수암골에 움트는 생명을 들여다보라!’입니다.
수암골 여행의 출발점은 동구나무 앞 삼충상회다. 이 가게 벽에도 그림이 있고 그 앞을 지나 골목을 따라 올라가는 동안에도 좌우로 그림이 있어 숨바꼭질을 하는 기분이 든다.
“소녀가 나무에 이마를 대고 있는 그림을 보세요. 아마도 숨바꼭질을 하나 봐요.” “골목이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모습들이 내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구나. 술래잡기며 다방구, 찐돌이 등 그때의 골목은 놀이터이자 나에게는 세상의 전부였지.”
여럿이 함께 하는 놀이를 즐기며 거미줄처럼 얽힌 골목길을 뛰어 다녔다. 해질 무렵 골목은 집마다 피어나는 저녁 짓는 향기로 가득 찼다.
마을을 거닐며 만나는 것들에서 옛 추억을 곱씹기에 충분하다. 골목골목 그림을 보며 내 어린 시절을 아이에게 이야기해주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따뜻해져올 것이다.
“‘밥 먹고 놀아라’는 어머니 목소리가 담장을 넘어 왔지만 ‘히히덕’ 거리며 딱지치기와 구슬치기에 온 정신이 빠져 있었지. 결국 부지깽이에 빗자루를 들고 나를 데리러 온 엄마에게 붙들려 끌려가곤 했단다."
"돌이켜보면 골목은 좁았지만 가장 큰 세상이었고, 몸집은 작았지만 누구도 따라 올 수 없는 큰 꿈을 꾸며 살던 때였어.”
한겨울에도 연꽃이 소담스레 피어나고 가파른 계단은 피아노 건반이 되어 밟고 지나가면 영롱한 소리가 나는 것 같다. 골목은 좁지만 정겨웠다.
“글자를 주렁주렁 단 나무가 자라고 새하얀 눈이 쌓여도 파란 이파리에 빨간 감을 잔뜩 단 감나무가 계절도 시절도 비껴가는 이상한 동네예요.”
“그렇구나. 계절도 시간도 이곳에 들어오면 골목에서 길을 잃고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처럼 되어 버리는 것 같지?”
구멍가게 앞에는 아이스케키를 사먹으려는 아이들이 줄을 서고 반대편 골목에는 또 한 무리가 흙장난 질이다. 이곳은 최근 드라마 촬영지로 더 잘 알려지게 됐다.
“여기 이 집, 어디선가 분명 본 적이 있는데?” “드라마의 주인공 ‘제빵왕 김탁구’가 얼굴에 밀가루를 잔뜩 묻히며 빵을 만들던 그 집이네!”
“아~ 정말! 저 그 드라마 열혈 팬이었는데, 여기서 주인공의 얼굴을 떠올리게 될 줄이야! 영화시상식 현장에 온 것도 같고 기분이 참 묘해요.”
아직도 빵처럼 부푼 꿈을 꾸는 희망의 빵집이 이곳 달동네에 자리해 행복한 추억을 나눠주고 있다.
“아~ 맞아. 이 그림들이 알려주는구나. 카스테라, 단팥빵, 소보루빵이 꿈이었던 시절이 있었지. 한 달에 한 번 먹던 짜장면과도 바꿀 수 없었던 빵은 기다림과 설렘의 대상이었어.”
“그런 흔한 빵들이 꿈이고 설렘의 대상이었다니, 저는 잘 상상이 안 가요.” “이곳 달동네 좁은 골목의 아이들은 과거의 나처럼 지금도 그렇게 크고 있을 거야.”
씨앗에서 자라는 나무들이 있고 사과가 열리는 느티나무도 있다. 골목 벽화 ‘웃는 아이 삼남매’ 옆에서 똑같은 표정으로 사진 찍어보면 쏠쏠한 재미도 더해진다.
“에이~ 그 표정보다 더 개구지게 웃어봐!” “이, 이렇게 말이죠?”
“이제 얼추 비슷해졌네. 자 찍는다?!” “와~ 표정연기 하나는 정말 끝내주네요. 보세요, 이제 삼남매가 아니라 사남매잖아요!”
인터폰으로 대화하는 아파트 문화보다 ‘정’이라는 정서를 담고 있는 골목길에 형형색색으로 채색된 미술작품들은 과연 어떻게 탄생하게 된 걸까?
“마을이 앞장서서 미술활동을 하고 있는 걸까요?”
“맞아. 주민과 학생 등이 힘을 모아 낡고 오래된 마을 담과 벽, 길에 기발한 상상력과 발랄하고 우스꽝스러운 그림을 그렸더니 마을 분위기가 밝고 명랑해졌다지? 재개발의 광풍에서 살아남아 마을과 사람들은 그대로 남아 그렇게 희망의 씨앗을 틔운 거야.”
낡은 기와 아래 오래된 빗물받이가 힘겹게 붙어 있는 골목은 30~40년 전 골목 그대로다. 재탄생의 의미를 지닌 수암골에서 들려줄 수 있는 메시지는 너무나 많다.
“여기가 피난민들을 집단으로 이주해와 생겨난 곳이라고 하셨죠? 집들은 다 고만고만한데.”
“맞아. 하지만 골목 그림을 보고 있으면 바닷속을 여행하듯, 하늘을 날듯, 그림책 속을 산책하듯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며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되지 않니?” “맞아요. 왠지 가슴이 따끈해지고 입가에 미소가 떠나질 않아요.”
추억의 골목이 현실에 남아 있으니 추억을 찾는 사람들의 마음은 얼마나 행복할까요. 달동네 비좁은 방에 옹기종기 모여 살던 시절, 이 골목에서 아이들은 뒹굴고 놀며 꿈을 꾸었습니다. 몸이 큰 뒤 골목은 좁아졌지만 골목 밖 세상의 하늘을 이고 살 수 있는 힘의 뿌리는 여전히 이곳에 닿아 있습니다. 낡은 담장 좁은 골목길을 걸으면서 마음이 푸근해져 온다면, 그건 분명 남루한 생활의 편린마저 나누고 살았던 추억이 당신의 머릿속에 떠올랐기 때문 아니었을까요?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82길 15, 393호 Tel: 02-408-9274 Fax: 02-595-9274
copyright (c) 문화마케팅연구소All rights reserved.